재산세 납부방법 납부기간 알아보기

7월은 대부분의 집이 있는 사람들이 재산세 고지서를 받는 월이라고 생각됩니다. 보통 7월과 9월에 두 차례에 걸쳐서 나오는데, 정부에서 한번에 세금을 납부하면 부담이 된다고 생각하여 7월, 9월 이렇게 나누어서 세금 고지를 하는 겁니다.


재산세 납부 대상

먼저 재산세 납부 대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유세의 일종인 재산세는 개인이 소유한 재산에 대해 납부하는 세금입니다. 6월 1일 기준으로 건물, 주택, 항공기, 선박을 소유한 사람들에게 부과 되는 세금입니다.


주택의 경우에는 총 재산세가 20만 원 이하일 경우 7월 한번만 부과가 되며, 20만 원 이상일 경우에는 앞서 설명 드린 것처럼 7월, 9월 두 번에 나누어서 부과가 됩니다. 7월, 9월 반반 부과가 됩니다. 40만 원일 경우 7월 20만 원, 9월 20만 원 입니다.


과세 기준일에 따른 재산세 부과

과세 기준일에 건물을 매매 했을 경우에는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실 겁니다. 실질적 소유자가 기준이 되며, 6월 1일에 잔금을 치루거나 전 주인과 합의 하에 거주하게 되면 재산세를 매수자가 내야 합니다. 그 이외에 매매가 이루어졌을 경우에는 매도인이 재산세를 내야 합니다.

예를들어 2022도 3월에 아파트를 매도 했다면, 2022년 7월에 내는 재산세는 매도인이 내는겁니다. 거의 대부분이 매도인이 낸다고 보시면 됩니다. 전세나 월세에 살다가 아파트를 매수 하여 이사를 가면 6월 1일에 잔금 치루는 경우를 빼고는 대부분 전 주인이 재산세를 낸다고 보면 됩니다.


재산세 납부 기간

재산세는 매년 7월 16~31일 까지 입니다. 재산세가 2000 원 이하이면 부과 되지 않습니다. 정해진 납부 기간을 어길 경우에는 가산금이 부과 됩니다. 7월 31일 납부 기간이 지난 경우 3%의 가산금이 부과되며, 8월 31일 까지도 납부를 안한다면, 0.75%의 중가산금이 추가가 됩니다.


재산세 납부 방법

재산세는 고지서로 받으셨다면, 전국의 은행 ATM기에서 납부가 가능합니다. 구청 세무과, 주민센터등에서도 납부가 가능합니다.

은행이나 세무서를 방문하지 않아도 인터넷이나 ARS 전화 납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ARS 전화 번호는 (080-788-8080, 1599-3900)으로 전화하시면 됩니다.
온라인의 경우는 위택스, 인터넷지로, 스마트폰 앱 STAX에서 납부가 가능합니다.


네이버 앱의 전자문서로 납부 하기

네이버 앱의 전자문서를 통해 납부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네이버 앱의 전자문서를 등록해 놓으면 네이버페이로 간편하게 납부가 가능합니다. 저도 이 방법을 주로 사용합니다. 정부에서 네이버를 통해 납부할 수 있게 만들었는데 놓치는 경우가 없이 정말 편하게 이용하는거 같습니다.

네이버 앱으로 재산세를 납부한 설명 사진입니다.

네이버 앱의 전자문서 등록 방법은 간단합니다. 네이버 앱 왼쪽에 세줄 메뉴를 누르고 전체 서비스 항목에 전자문서를 클릭하여 인증을 거쳐 등록을 해 놓으시면 됩니다. 재산세 뿐만 아니라 지방세에 관한 고지서를 받게 됩니다. 자동차세도 네이버에서 알림으로 오게 됩니다.


지금까지 재산세를 납부 대상 및 납부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7월을 재산세 납부의 달이니 잊지 마시고 꼭 납부를 하시기 바랍니다. 6월 1일 이전에 집이나 건물 등의 재산을 매도 하더라도, 매도자 에게 부과가 됩니다. 이점 잊지 말고 챙기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