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새로운글 빙웹마스터도구 자동색인 설정 방법

워드프레스에 글을 작성하고 여러 웹마스터 사이트에 수동으로 색인신청을 많이 하실겁니다. 이를 자동으로 색인 신청이 되도록 해주는 플러그인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구글 사이트킷이라는 플러그인을 설치하셔야 합니다. 구글 사이트킷 설치 방법은 따로 정리를 해 놓았으니 하기 링크 참조 부탁드립니다.

빙 웹마스터도구에 자동으로 url 색인을 등록하는 방법

워드프레스에 글을 발행 할 때마다 자동으로 색인 신청 하게 하는 과정을 소개 드리겠습니다. 어려운 것은 없으니 잘 따라 하시면 됩니다.

이 설정을 하신다면 빙 웹마스터도구에 자동으로 url 색인이 등록되게 만들면 수동으로 일일이 색인 추가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빙 웹마스터도구에 워드프레스 사이트 추가

구글이나 네이버에서 ‘빙 웹마스터도구’를 검색하여 사이트에 접속을 합니다.

빙 웹마스터 도구 홈페이지 화면 입니다.

홈페이지 화면에서 로그인을 합니다.

빙 웹마스터 도구 로그인 화면 입니다.

저는 구글로 로그인 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앞으로의 모든 계정을 통일해야 편리하기 때문에 애드센스, 서치콘솔, 웹마스터 페이지 등 구글 메인 계정 하나로 통일 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빙 웹마스터 도구 홈페이지에서 사이트 추가 방법입니다.

빙 웹마스터 도구 홈페이지에서 왼쪽 위를 보시면 화살표가 아래로 향한 메뉴가 보이실 겁니다.

저는 이전에 등록해 놓은 사이트들이 있어서 3 개가 먼저 보이는데, 처음 접속하시면 아무것도 없을 겁니다. 여기에서 ‘사이트 추가’를 눌러 줍니다.

빙 웹마스터 도구에서 구글 서치콘솔을 이용한 사이트 가져오기 메뉴 입니다.

여기서 처음에 제가 말씀 드렸던 구글 사이트킷을 설치하고 활성화 하셨으면, 구글 서치콘솔에 사이트가 자동으로 등록이 되었을 겁니다.

만약에 안하셨다면, 먼저 사이트킷을 설치하든지, 구글 서치콘솔에 사이트를 먼저 등록 하시기 바랍니다.

위의 사진에서 왼쪽 가져오기를 누르시면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 되어 있는 사이트들이 나옵니다.

빙 웹마스터 도구에서 구글 서치콘솔 데이터를 가져오게 하기 위한 설정 화면 입니다.

계속을 눌러 줍니다.

구글 계정 선택 화면 입니다.

구글 계정을 한번 더 입력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아까 로그인 하셨던 계정과 구글 서치콘솔 계정이 일치 한다면 확인 하시고 계정 선택을 하면 됩니다.

빙에서 구글 계정에 액세스 하려는 과정을 허용하는 방법 입니다.

이렇게 화면이 나오면 허용을 눌러즙니다. 빙에서 구글 서치콘솔 데이터에 접근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해 주는 과정입니다.

빙에서 검색한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된 사이트 목록 입니다.

저는 이전에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하였던 티스토리 주소가 있어서 같이 나왔습니다.

처음 만드시는 분들은 한개의 사이트만 보이실겁니다. 일단 해당 사이트를 클릭하고 ‘가져오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빙에서 사이트 추가가 완료된걸 알리는 화면입니다.

정상적으로 등록이 완료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사이트를 확인하시고 ‘완료’버튼을 누릅니다.

빙 웹마스터도구 홈페이지에서 사이트맵이 등록 되어 있는지 확인 하는 방법 입니다.

사이트추가가 완료 되었다면 빙 웹마스터 도구 홈페이지에서 사이트맵을 확인 해 줍니다.

지금까지 잘 따라오셨다면 사이트맵 2개가 자동으로 추가가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는 워드프레스 관리자에서 빙 웹마스터 플러그인을 설치 합니다.

워드프레스에서 빙 웹마스터 도구 플러그인 설치 및 코드추가

빙 웹마스터도구 홈페이지에서 사이트 추가를 완료 하셨다면 다음 단계인 워드프레스에서 플러그인을 설치해야 합니다.

이때 빙 웹마스터도구 홈페이지는 열어둔 채로 새 창에서 작업을 하시기 바랍니다.

워드프레스에서 플러그인을 새로 추가 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플러그인 새로 추가를 눌러줍니다.

워드프레스 플러그인에서 'bnig url'검색 하는 방법 입니다.

플러그인 검색창에 ‘bing url’ 을 검색하시면 ‘Bing URL Submissions Plugin’ 이 보이실 겁니다. 지금 설치를 누르시고 활성화까지 해줍니다.

bing url 플러그인이 활성화 되고 다음 단계를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플러그인 설치를 완료하고 활성화까지 하셨으면, 플러그인 목록에 추가가 되어 있을 겁니다.

자동으로 업데이트가 되도록 업데이트 활성화를 누른 후 왼쪽에 ‘setting’을 눌러 줍니다.

bing 플러그인에서 API 키를 넣으라는 메세지의 화면입니다.

그럼 위와 같은 화면이 보이실겁니다. 여기에 API 키를 넣어주셔야 합니다. API 키는 빙 웹마스터 도구 홈페이지에 가셔서 만들 수 있습니다.

API 코드를 만들기 위한 첫 번째 과정입니다.

홈페이지 화면의 오른쪽 위에 톱니바퀴 모양을 클릭하시고, API 액세스 권한을 눌러줍니다.

API키를 만들기 위한 과정들을 설명하는 화면입니다.

그 다음에 순차적으로 API키를 만들어 주고, API 키 생성, 생성된 API 키를 복사 해 줍니다.

복사 방법은 복사키를 누르시면 됩니다. 이제 다시 워드프레스 플러그인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bing 플러그인에 API 키를 넣는 화면입니다.

이전의 빙 웹마스터도구 플러그인 셋팅 화면에서 아까 복사한 API KEY를 넣어주시고, ‘Start’ 버튼을 눌러주시면 모든 설정이 완료 된 것입니다.

bing 플러그인에 API 키까지 넣은 후의 모든 설정이 끝난 화면입니다.

위의 사진에 보시면 가운데에 ‘100’이라는 숫자가 있는데, 이제 워드프레스에 글을 발행할때 마다 카운트가 하나씩 내려갑니다.

이제 수동으로 url 색인 요청을 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색인 요청이 되는 겁니다.


지금까지 워드프레스에 빙 웹마스터도구 플러그인을 설치하여 빙 웹마스터에 자동으로 색인 요청을 하게 하는 과정들을 알아보았습니다.

이게 글로 설명을 하려다 보니 조금 길게 느껴지실거 같지만, 해보면 금방 할 수 있는 작업입니다. 체감상 5~10분 정도 걸리는거 같습니다.

이 작업을 하지 않더라고 빙 웹마스터도구에 사이트 등록만 해도 url을 알아서 가져가기는 합니다.

자동 색인 요청을 하면 조금이라도 더 빨리 색인 작업이 이루어 지기 때문에 설정을 하시는 것이 마음이 편하실 겁니다.

다음에는 구글 서치콘솔에 자동으로 색인을 요청하는 과정을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